by 백업 창고
임시 연성 보관
(일부 기간 공개) 전편 : https://glph.to/f392zf 그 애는 정말 알 수 없었다. 땡글땡글한 눈동자. 순수한 표정과 달리 새카만 눈동자. 부드러운 머리카락. 학교 보건실에서 속삭이던 목소리. 성찬의 머리에서 비상벨이 울린다. 삐용삐용. 혹시 스위치 있는 로봇이 아니라, 막 세이렌 같은 존재는 아닐까? 노래로 선원들을 꼬시는 인어 같은
그 애는 정말 이상했다. 일본인 이름을 가졌으나, 유달리 한국어를 잘하는 2-A반의 반장. 중학생 때 한국으로 넘어왔단다. 타고나게 좋은 성격, 귀엽게 생긴 얼굴, 모범생, 그리고 빼지 않고 모든 걸 다 좋아하는 미련함으로 그를 싫어하는 이는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정성찬은 그 애가 기묘하게 싫었다. 가끔 눈이 마주치면 자연스럽게 웃는 그 눈매가, 싫은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니 설국이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의 첫 문장은 유명해서 많은 이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쇼타로는 이 소설의 백미는 첫 문장이 아닌 마지막 문장이라고 생각하곤 했다. '넘어지지 않으려 발끝에 힘을 주고 올려다본 순간, 하늘의 은하수가 솨아 소리를 내며 안으로 흘러 들어오는 것 같았다.' 허무함이 키워드라고 할 수
타로, 당신이 울지 못할 때 내가 대신 울어줄게요. 성찬은 손등으로 눈가를 닦으며 말했다. 꼬박꼬박 형이라고 붙이던 호칭은 어디로 갔는지, 쇼타로는 속으로 조용히 웃으며 흐트러진 그의 머리카락을 정돈해준다. 그럴 필요 없다고 말을 해야 하는데, 쉽사리 입술이 떨어지지 않는다. 가족이 아닌, 누군가가 나를 위해 울어준 건 처음이라서. 그게 또 속도 없이
*소재 주의 누군가는 말했다. 삶은 공평하다고. 불공평하게 보일 수 있지만, 결국 끝인 죽음은 공평하니, 결국 공평한 것이라고. 오오사키 쇼타로는 그 말을 믿지 않았다. 삶은 불공평하다. 불공평하니까, 죽음이라도 공평해야 어느 정도의 수지타산에 부합하는 것 아니겠는가. 오오사키 가문, 일본 가부키 명문 가문. 자신이 태어났을 때 집안은 말 그대로
입술에 맺히는 사랑이라는 단어와 달리 그들은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숨결이 닿는 거리, 성찬은 고개를 다시 한번 숙여 시선을 마주하지만 쇼타로는 그마저도 피하지 않았다. 도대체 무슨 생각인 걸까. 성찬은 쇼타로의 생각이 궁금했다. 도대체 당신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거냐고. 그 순하고 다정한 얼굴 뒤에, 어떤 생각을 하고 있길래 모든
기차 안은 또 다른 세계 같다.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시간과 공간이 흐트러진 세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모스크바까지 거리. 지구 둘레의 4분의 1. 일곱 번 바뀌는 시차, 그리고 일곱 시간의 시차. 모스크바로 향하는 우리는 과거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2024년 12월 31일. 새해를 기차 안에서 맞이하는 사람들. 고독하지만 고독하
스물아홉 정성찬은 팔자에도 없는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에 서 있었다. 나 러시아 가려고. 친구들에게 처음 말했을 때, 돌아오는 반응조차 황당할 만큼 뜬금없는 소리였다. 네가 좋아하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의 팀) 경기를 보러 가는 것도 아니고, EPL(*영국 프로 축구 리그)을 보러 가는 것도 아닌, 왜 갑자기 러시아냐고. 열아홉에서 스물
분명 낭만주의가 많은 인간을 망쳤다고 했다. 그리고 정성찬은 자신이 이 빌어먹을 낭만주의에 망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분명, 분명 그렇게 생각했었다. 빌어먹을 오오사키 쇼타로라는 낭만에 잠겨서 다시는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라고. 그리고 빠져나오지 않겠다고. 시간이라는 얇고 날카로운 쇠붙이가 세밀한 구멍을 내고 낭만이라는 감정이 서서히 빠져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