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에 창을 만들어 비스듬히 빛이 비쳐 들어오고 중앙에는 엇갈리듯 만들어둔 지붕 사이로 하늘이 보였다. 실내인데 하늘을 볼 수 있다니 신기하긴 했다. 3층 높이에 만들어진 중정에는 작은 폭포와 검은 나무를 깎아 만든 수로까지 있었다. 연못은 없지만 몇 개 수반과 이어진 수로가 있어서 기가 막힌 볼거리였다. 큰 수반엔 하얀 자갈을 깔아두었는데 둥근 자갈
소지가 소개한 약방은 그들이 머물던 마을을 벗어난 장소에 있었다. 걸어가지 못할 정도는 아니었지만 생각보다 멀리 나와 도착한 곳은 번듯하게 조성된 마을이었다. 건물이며 길이며 생긴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았다. “보통 이런 걸 약방이라고 부르나?” 별로 크지도 않은 고을에 심지어 중심지에서 멀리 있는 약방이라 하기에 자그마하고 허름하며 손때탄 흔적이
낯선 손님들이 속닥거리는 게 퍽 수상했다. 소지가 반사적으로 긴장하는데 마침 주문한 음식이 나왔다. 지배인이 뭐라고 해뒀는지 설이 잔을 하나 더 가져다 달라고 하자 날듯이 가져왔다. 잔이 하나 더 놓이고 기름지고 비싸보이는 음식이 푸짐하게 차려진 뒤 문이 닫혔다. “많이 시켰으니 너도 먹어라.” 제헌이 다호를 보는 차에 설이 다호에 손을 뻗었다.
“정팔?” 제헌이 의문을 표하자 소년이 나귀가 지고 있는 짐에 달린 보따리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보따리는 밖으로 이파리며 뿌리가 삐죽 튀어나와 있어서 어둑해지는 때에도 내용물을 알아차리기가 어렵지 않았다. “아마 자기가 흑운랑이니 뭐니 그런 얘길 했을 걸요? 그쪽처럼 정팔 아저씨한테 부탁 받은 사람이 종종 여기 오거든요.” 소년은 두 사람을 자리로
두 사람이 완만한 산길을 지나고 있었다. 짐을 진 나귀 한 마리를 끌고 앞장서서 걷던 이립이 채 안 되어 보이는 남자가 산중턱에 난 길 한쪽에 앉아있는 시커먼 사내를 발견하고는 경계심어린 낯빛이 되었다. 하지만 사내가 길을 막고 있거나 다른 무리가 있는 것 같지도 않은데다 여기서 돌아가자면 산 속에서 밤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었다. 야숙을 못할 건 아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