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도 말한 적 있지만, 어떤 주제를 다룰 땐 관련 데이터를 다시 취합한다고 시간이 좀 걸리는 걸 양해 부탁드린다.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작업이다. 각설하고,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지난 글들에서 한국 전쟁 이후 여성 이미지로 여공과 식모, 그리고 가정주부를 제시해왔다. 시대의 흐름이 만들어낸 이미지이기에 자연스럽게 깨닫기 힘들 수 있으니 다시
자아, 80년대도 그렇고 여성 이미지와 인권에 대한 얘길 하려면 가정주부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둬야 한다. 왜냐? 여러분의 머리엔 가정주부 이데올로기가 박혀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내가 이렇게 얘기를 시작하면 분명 가정주부? 가? 이데올로기? 라고 떨그럭 얼어버릴 사람이 분명히 있을 테니 차근차근 시작해보자. 이데올로기는 그만큼 대단한 것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가사노동과 돌봄노동 얘기를 하기 위해서는 조선조로 먼저 돌아가야 한다. 신분사회였던 조선의 경우 전기에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네 신분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뭐 후기가 되면 양반의 몰락이 흔해지고 중인 세력이 커지기도 하고 그러지만 그보다는 노비를 좀 들여볼 필요가 있다. 늘 그렇지만 사람은 늘 돈을, 그리고 돈이나 다름 없는 귀한 노동력을 최
좀 쉬었으니 이번 편에선 본격적으로 여공에 대한 얘길 해보려 한다. 이 시리즈는 유료로 연재하고 있었지만 노동운동 얘기만큼은 노동자로 살아가는 이상 알아둬야 하니까 이번 편만큼은 무료로 풀겠다. 2편에선 여공의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다뤘으니 이번 3편에선 실제 여공들이 어떤 대우를 받았고 어떻게 싸워나갔는지 다뤄보겠다. 다시 강조하건데데, <근대 배경 로판에
그동안 이해하기 쉽도록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이미지의 흐름을 쭉 다뤄줬으니 한국의 경우에도 비스무레한 여성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음을 이해하고 있을 게다. 서구와 달리 한국의 신여성은 플래퍼의 외형이 덮어쓰여진 채로 일제 강점기에 들어왔지 않았던가. 남성들이 사랑하는 핀업 걸 스타일 또한 아이돌 업계에서 잠깐 있었고, 서프러제트 이미지는 페미니즘 리부트로 여
선망 해부 시리즈가 어쩔 수 없이 시간도 많이 걸리고 길 수밖에 없는 내용이니 한국 파트는 따로 빼겠다. 다들 알다시피 일제 강점기 민족말살정책 때문에 당시 조선인들의 문화는 좀... 자료가 없어서 다루기가 어렵다. 그나마 자료로 남겨진 게 영화, 문학, 여성국극 정도가 그나마 알려져 있는데 1950년 부근은 전쟁이 터지면서 요 시기는 무슨 중세 암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