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기카로기아

마기카로기아 : Roll20 무료 계정 세팅 참고용

TRPG 배포물 by A
378
0
0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스프레드시트 배표 자료가 아니라 마기카로기아 무료 계정 Roll20 세팅으로 찾아뵙습니다.

잠시 사담을 하자면 저는 TRPG를 마기카로기아로 시작했는데요, TRPG 툴 사용법은 물론이고 선대 GM분 없이 박치기로 했던 터라 세팅에 꽤 어려움을 가졌었습니다. 물론 TRPG에서 세팅은 필수가 아니며 롤꾸와 맵세팅은 편의성과 자기만족임을 알고 있으나 아무래도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토큰에 원형 이펙트 같은 걸 깔아두는 편이 진행 속도와 이해에 좋을 것 같더군요. 저와 같은 분을 위해 본 세팅 방법은 숙련자가 보기엔 잡다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Roll20을 처음 사용하는 초심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습니다.

  • 무료 계정 기본 시트와 무료 배포 자료로 세팅을 설명했습니다. 설명에 사용한 배포 자료의 경우 링크를 같이 남겨둡니다만 문제가 될 경우 연락 부탁드립니다.

  • 캡쳐 화면은 파이어폭스입니다만 크롬 사용을 권장합니다.

  • 최근 Roll20이 자주 업데이트함에 따라… 이 글은 24년 3월 3일을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 본 세팅 방법은 세팅 부담을 드릴 의도로 작성된 게시물이 아니며, 이 포스트를 타인의 세팅에 강요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적발 시 포스트 비공개 처리합니다. 마기카로기아 백지 위에서 해도 됩니다. 롤방만 있으면 ORPG로 플레이 가능한 게 TRPG입니다.


목차

  1. 롤방 생성하기

  2. 맵시트 세팅하기

  3. 토큰 설정

  4. 토큰 배치

  5. 보이스 음소거하기

  6. 캐릭터 시트 세팅

  7. 마력 토큰 연결

  8. 장서 토큰 연결

  9. 플롯 덱 만들기

  10. 장면표 만들기

  11. 편의 매크로

  12. 원형 토큰

  13. 핸드아웃 설정


1. 롤방 생성하기

먼저 Roll20에 로그인합니다.

위 두 화면 중 하나가 뜰 겁니다. 첫번째 화면은 로그인을 막 하면 뜨는 화면이고, 두번째 화면은 홈을 눌렀을 때 발생합니다. 어느 쪽이든 새 게임 만들기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화면 왼쪽에 이런 문구가 뜹니다. 게임 이름은 아무거나 입력하고, 캐릭터 시트 고르기에서 D&D 5E 대신 Magica Logia를 클릭합니다. Velocity System 항목에 있습니다. 오른쪽 같은 시트가 하단에 보이면 끝입니다. 이대로 게임 만들기를 클릭해주세요. (우측의 모듈은 선택하지 마세요)

본 화면이 뜨면 롤방 제작 완료입니다. 게임 시작을 눌러 게임을 시작해주세요.


2. 맵시트 세팅하기

롤방에 접속하시면 가장 처음 마주하는 화면은 광활한 백지일 겁니다. 최근 업데이트로 왼쪽 툴바가 꽤 이상하게 변했습니다만 쉽게 따라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전에 Roll20을 사용해보셨다면, 왼쪽 툴바가 조금 더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플레이어로 접속했을 때의 화면입니다. 달라진 게 느껴지시나요?

그렇습니다. GM을 할 때는 왼쪽 툴바에 추가 기능이 생깁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툴바 하단의 레이어입니다. 레이어에 따라 플레이어가 볼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는 오브젝트가 달라집니다. 세팅하면서 알아보죠.

그 다음으로 GM 화면 상단에는 파란색 페이지 모양 네모가 보입니다. (확대 표시 왼쪽) 이것을 눌러본다면

네, 페이지 세팅입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맵시트 세팅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세팅을 위해 여러분은 맵시트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간단하게 트위터나 구글에 마기카로기아 맵시트를 검색하시면 많은 분들이 배포해주신 다양한 맵시트가 있습니다. 그 중 마음에 드는 거 하나를 다운받아봅시다. 예시 세팅에 사용된 맵시트는 귤토끼님의 3~4인용 다인 맵시트입니다. (하단)

시트를 다운받으셨다면 세팅 전 시트가 든 폴더를 열어 맵시트 크기를 확인해야 합니다.

여기서 맵시트 사이즈는 2660(가로)*2170(세로)입니다. 위 시트처럼 맵시트 사이즈를 적어주시는 분들도 계시나, 그렇지 않은 경우 우클릭>속성>자세히로 사진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하셔야 할 일은 가로와 세로를 각각 70으로 나눠주셔야 합니다. 갑자기 수학이라 죄송하지만 계산기를 쓰시면 금방 구할 수 있습니다. 위 맵시트의 경우,

  • 가로 : 2660/70=38

  • 세로 : 2170/70=31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익숙한 숫자인가요? 크기 앞에 작성해주신 38*31과 동일한 수치입니다. 70*70 박스는 Roll20에서 기본 한 칸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즉 가로세로 70에 딱 맞아떨어지게 세팅한다면 세팅이 쉽게 됩니다. 간혹 소수점으로 0.5가 나오는 분들이 계실 텐데 이 경우 후술하겠습니다.

다시 위쪽으로 가, 페이지 세팅(파란 페이지 모양 네모)을 눌러줍니다.

지금부터 설명 예시를 위해 새 페이지를 작성할 겁니다. 왼쪽의 Create New Page를 클릭하여 새 페이지를 생성해줍니다.

네, Untitled 라는 새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참고로 페이지 이름을 클릭하면 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페이지 위에 마우스를 롤오버하면 작은 메뉴가 뜹니다. 순서대로 복제, 삭제, 설정입니다. 설정을 눌러 페이지를 설정해봅시다.

그러면 아주 익숙한 숫자가 보입니다. 이것은 현재 맵시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겁니다. 앞서 세팅하고자 하는 맵시트를 70으로 나눈 값을 계산했으므로, 너비와 높이 아래에 해당 숫자를 적어봅시다. 예시로는 38과 31이겠네요.

이렇게 되면 끝입니다만, 소수점으로 나온 분들도 계실 거라 믿습니다. 그런데 칸은 또 70이네요. Roll20은 격자에 딱 맞게 토큰이 배치되기 때문에 소수점이 나오면 세팅이 좀 곤란해집니다. 설정 스크롤을 내려서 격자 파트를 켜 봅니다.

바로 이겁니다. 격자를 꺼도 됩니다만, 세팅의 편의성을 위하여 격자 크기를 줄여보도록 합시다. 단순하게 칸 너비 아래의 1을 0.5로 바꾸면 35*35 격자로 변경됩니다. 격자를 사용하지 않는 일부 세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세팅이 0.5, 또는 0.25로 넣으면 딱 들어갑니다. 다운받으신 맵시트에 따라 설정해둡시다.

맨 아래의 불투명도 바를 맨 왼쪽으로 당기시면 격자는 존재하나 선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미리 격자를 숨기셔도 되고, 저처럼 모든 세팅을 마친 이후에 격자를 숨겨도 됩니다.

설정을 마쳤지만, 뭔가 변했다는 느낌은 받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바로 페이지가 전환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해당 페이지를 클릭하시면 세팅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주의하셔야 할 건 빨간 Players 라고 적힌 띠입니다. 이것은 현재 플레이어들의 위치를 의미하는데요, GM인 여러분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플레이어는 해당 페이지에 남아있음을 의미합니다. 해당 표시를 드래그하여 현재 페이지에 가져다 놓으셔야만 플레이어도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야 같은 페이지를 보게 되겠군요.

사족이 길었습니다. 그럼 대망의 맵시트 세팅을 해 봅시다. 이제 파란 페이지 모양의 버튼은 접어두시고, 왼쪽 하단의 레이어에서 지도를 선택해주세요.

핑크색 불이 들어온다면 성공입니다. 이제 아까 다운받은 맵시트 파일을 롤방에 드래그 드랍 해 줍니다.

사이즈를 잘 맞춰 이미지를 배치해주시면 끝입니다.

위와 같은 세팅은 다른 디자인의 맵시트를 여럿 설치할 때 용이합니다. 만약 같은 디자인의 맵시트를 인원수만 다르게 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페이지 크기가 전부 통일된 게 좋겠죠. 롤20에는 맵시트 크기를 맞추는 기능이 존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롤방에서 나와야 합니다. 롤방 화면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중 게임 설정을 클릭해주십시오.

PRO 기능을 지나치면 게임 기본 설정이라는 탭이 나옵니다. 탭을 클릭하면 하단에 위에서 했던 Page Settings와 거의 동일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세팅을 입력한 후 하단의 Save Defaults를 클릭하면 생성하는 모든 페이지가 해당 사이즈로 고정됩니다.


3. 토큰 설정

토큰을 배치하기 전 기본 설정을 해보도록 합시다. 바로 위 2번 항목에서 작성된 게임 기본 설정으로 들어가 주십시오.

본 설정의 우측 설정이 토큰 기본 설정입니다.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려 왼쪽의 기본 설정을 오른쪽으로 조정해주세요. (보기에 클릭한 후, 텍스트 오버레이를 모두에게 표시로 바꿔주세요.)

바 위치와 바 스타일은 다음과 같은 기능입니다. 왼쪽부터 위, 위에 겹침, 아래에 겹침, 아래 입니다. 상단은 기본형, 하단은 축소형의 바 스타일입니다.

완료하셨다면 세팅을 저장해주세요.


4. 토큰 배치

잘 보시면 다운받으신 맵시트 폴더에는 맵시트 외에도 다양한 토큰들이 있을 겁니다. 토큰 또한 맵에 드래그/드랍하여 배치하면 사실 끝이지만 쉽게 꺼내도록 해 봅시다. 매번 라이브러리나 PC에서 토큰을 가져오는 것보단 덱이나 롤테이블을 이용하는 게 쉽기 때문입니다. (여담이지만 저는 라이브러리의 존재 여부도 몰라 매번 PC에서 토큰을 가져오다가 용량이 바닥났습니다.)

오른쪽 위를 보시면 조그마한 아이콘 6개가 있습니다. 이 중 다섯 번째인 컬렉션을 클릭해줍니다.

크게 덱을 사용하는 방법과 롤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덱을 사용하는 방법

덱 옆의 추가 버튼을 눌러 새 덱을 추가한 후, 더블클릭해서 설정에 들어가주세요.

여기에 세팅에 필요한 잡다한 토큰들을 다 넣을 겁니다. GM 세팅용이므로 체크된 모든 항목은 해제해주세요. 대신 무한 장의 카드 사용에 체크해주세요. (플레이어가 토큰을 놓도록 하고 싶으신 경우, 플레이어에게 덱 표시하기와 플레이어의 카드 뽑기 허용에 체크해주세요.)

하단 항목들은 이렇게 설정합니다. (플레이어가 토큰을 놓도록 하고 싶으신 경우, GM/플레이어 허용으로 바꿔주세요.)

그 아래는 이렇게 설정합니다. 카드 크기의 경우, 시트에 내장된 토큰 사이즈에 따라 기입하거나 기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동으로 크기조절 됩니다)

이제 이 포함 카드에 토큰들을 추가해도 됩니다. 여러 장 추가로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뒷면이 필수라는데 아무 이미지나 추가하셔도 됩니다. 모든 토큰을 추가하셨을 경우, 저장 후 액션에서 표시를 클릭합니다.

이후 덱에 마우스를 롤오버했을 때 나오는 선택 메뉴로 토큰을 드래그하여 세팅하시면 됩니다. 토큰이 흰색이라 잘 보이지 않을 경우 다크 모드를 키시면 편하게 세팅할 수 있습니다.

2. 롤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

목록에서 뽑기(롤테이블) 옆의 추가 버튼을 눌러 새 항목을 추가한 후, 더블클릭해서 설정에 들어가주세요.

위처럼 항목 추가를 누른 후, 토큰을 하나하나 추가해줍니다. 비중은 그대로 1로 설정해주세요.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하고 (Save Changes를 눌러주셔야 합니다) 해당 목록의 토큰 버튼을 누르면 가장 처음 넣은 토큰 모양으로 맵에 토큰이 생성됩니다. (예시 이미지로 사용된 장서 토큰은 하단 장서 설정을 설명하며 다시 작성하겠습니다.)

해당 토큰에 우클릭 후 여러 면>면 선택을 클릭하시면 롤테이블 내의 다른 모양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장단점은 명확합니다. 덱은 여러 개의 이미지를 한번에 등록할 수 있고 롤테이블은 토큰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덱은 토큰을 볼 수 있는 모두가 권한을 가지지만 롤테이블은 토큰을 꺼낸 사람만 권한을 갖게 됩니다. 개인 기호와 편의성에 따라 사용해주시되, 후술할 다이스 토큰은 반드시 덱으로 제작해주셔야 합니다.


5. 보이스 음소거하기

전체 롤방 보이스 음소거 권한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설정 메뉴 하단에서 음성&영상 옵션을 눌러봅시다.

뭔가 많은 메뉴가 나오지만, 채팅 기술 탭에서 구 버전 또는 영상/음성 채팅 사용 안 함을 클릭해주시면 보이스를 들을 일이 없습니다.


6. 캐릭터 시트 세팅

마기카로기아를 플레이하다 보면 굳이 PC가 아니어도 에너미 시트 등을 넣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롤방에 시트를 넣어보도록 합시다.

저널에서 캐릭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아바타에는 인장을 넣어주면 됩니다. 기본 토큰에는 토큰을 넣습니다. 물론 인장도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지만 만약 맵에 단장을 표시하기 위해 단장 토큰을 넣는다고 해 봅시다. 예시 세팅에는 MANSIO님의 단장 토큰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아바타에 넣으시면 단장 저널로 대화할 때 단장 이미지가 출력됩니다. 그렇다면 맵에는 어떻게 놓을 수 있을까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만 Roll20의 오류로 인해 한 가지의 방법만으로는 맵에 끌고 오기 어렵습니다.

1. 저널 자체를 맵에 끌고 오는 방법

캐릭터 저널을 통째로 맵에 드래그, 드랍하면 아바타 모양의 토큰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간혹 토큰이 표시되지 않는데요, 이 경우 기본 토큰에도 동일 이미지를 넣으면 해결됩니다.

2. Bio&Info 탭에서 이미지를 끌고 오는 방법

해당 탭에 들어가면 아바타 이미지가 나오는데, 그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이것을 롤방에 드래그, 드랍하면 아바타 모양의 토큰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개요 및 정보 란에 표를 채웠을 경우 끌어오기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다른 방법을 이용해주세요. (잠시 바이오 시트를 제거한 후 드래그, 드랍하면 끌고 올 수 있습니다.)

3. (GM만, 자신이 올린 이미지에 한하여) 라이브러리에서 이미지를 끌고 오는 방법

위 방법으로도 끌고 올 수 없는 토큰이 필요하다면 라이브러리에서 이미지를 끌고 온 후 시트와 연결하면 됩니다. 라이브러리(메뉴에서 2번째)를 클릭하여 토큰 이름을 검색하고 그대로 맵에 끌고 와 주십시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세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토큰을 끌고왔다면 이제 캐릭터 시트를 켜 줍니다. 시트 작성법은 룰북을 참고해주세요. ORPG 시트에서 각인 란은 체크박스 체크로 표시하시면 되먀, 영역은 영역명 양 쪽의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표시해주세요. 이외의 시트 기입법은 룰북을 보시면 처음 하는 분들도 작성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맵에 표시될 토큰에 마력 바 표시를 하기 위해서 마력 일시적 마력 란에 숫자를 기입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아직 마력을 모르는 경우 모든 란에 0으로 기입해주세요. 이미 기입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도 한번 다시 타이핑 부탁드립니다.

다른 란도 충분히 채우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만, 장서 칸의 경우 마법 칸 숨겨진 좌측 톱니바퀴를 클릭하면 추가 설명을 기입하실 수 있는 란이 나옵니다. (관계 칸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에 효과와 주구를 타이핑해주세요. 또한, 플레이어의 시트는 맵에 표시될 토큰을 위해 충전 칸에 0을 적어주십시오.

이미지 주소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특기 표 우측에 설정이라는 탭이 존재합니다. 이것을 누르면 이미지 표시 설정이라는 파트가 나옵니다. 여기서 마법이미지 사용을 체크하시면, 마법을 사용하실 때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는 형식입니다. 개인 기호에 따라 사용하세요.

테마 색상 아래의 색에 선택하시면 특기 표에 칠해지는 각인 색이 달라집니다.

그러면 시트 세팅은 완료입니다.


7. 마력 토큰 연결

저는 크게 남은 마력을 표시하기 위한 마력 표시 토큰과, 장서 충전을 나타내는 장서 토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쪽은 개인 기호에 설정하시면 됩니다. 먼저 마력 토큰 세팅을 작성해보겠습니다.

토큰을 더블클릭하여 설정을 오픈합니다. (만약 토큰이 맵에 없다면 위에 서술된 방식 중 하나로 가져오십시오.) 이때 토큰은 토큰 레이어 또는 GM 레이어에서 작업하는 게 좋습니다. (왼쪽 하단에서 레이어를 바꿀 수 있습니다.)

경우의 수는 두가지입니다. 토큰에 연결된 캐릭터가 있거나, 또는 토큰에 연결된 캐릭터가 없는 경우입니다. 다음 방법을 따라 설정을 진행해주세요.

0. (토큰에 연결된 캐릭터가 없는 경우) 먼저 토큰에 연결된 캐릭터를 단장(토큰의 시트 이름)으로 변경합니다.

1. 일반 정보 옆의 점 3개를 클릭하여 플레이어 권한에서 보기를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만약 체크가 되어있지 않다면 3번이 적용되지 않은 것입니다. 롤방을 끄고 나와 3번을 적용해주세요. (저장까지 눌러야 합니다.) 생성된 토큰은 권한이 바뀌지 않으므로 다시 생성해주십시오.

2. 특성치를 설정해야 합니다. 바 1은 mp 항목을 찾아, 바 2는 temp_mp 항목을 찾아 변경해주세요. (바 1에 마력을, 바 2에 일시적 마력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취향에 따라 바 위치를 바꿔도 됩니다.)
만약 에너미의 마력을 공개하고 싶지 않으신 경우, 점 3개를 눌러 플레이어 권한에서 보기를 해제해주세요.

혹시 파이어폭스 사용자이신가요? 텍스트 오버레이 항목을 바꾸실 경우 크롬에서는 무리 없이 마우스로도 변경할 수 있지만, 파이어폭스 환경에서는 창이 꺼져버리는 상황이 간혹 발생합니다. 오버레이 항목의 드롭다운을 클릭한 후 키보드의 아래 방향키를 눌러 변경해보세요.

3. temp_mp를 추가한 바(저와 똑같이 설정하셨다면 바2)의 MAX 항목에 아무 값이나 집어넣어주세요. 저는 0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제대로 따라오셨다면 위와 같이 설정됩니다.

자주 하는 질문 :
특성치를 입력했는데 좌측에 값이 보이지 않습니다.
└캐릭터 시트 설정하실 때 마력과 일시적 마력에 값을 채워넣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값이 없을 경우,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때 빈 좌측 값에 수치를 집어넣으면 토큰을 저장했을 때 특성치 연결이 풀려버립니다. 토큰 설정을 끄고 시트를 켜서 값을 채워넣은 후, 다시 토큰 세팅을 켜 특성치를 재설정해주세요.

특성치에서 mp와 temp_mp가 보이지 않습니다. or 특성치에서 mp와 temp_mp 연결이 안 됩니다.
└토큰에 연결된 캐릭터가 없을 경우 발생합니다. 토큰에 시트를 연결해주세요.

특성치를 입력하고 저장했는데, 초기 화면으로 돌아왔습니다.
└창을 2개 켜버리신 경우나 Roll20 오류입니다. 두번째 설정 창을 닫으시면 적용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수치를 보고 싶은 모든 토큰을 연결하시면 마력과 일시적 마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름 바에서 이름 표시를 하시면 토큰 하단에 이름이 표시됩니다.

토큰 설정에서 하단으로 스크롤하면 토큰 바 설정이 나옵니다. 이것은 위치와 토큰 바 스타일을 나타내는 것으로, 3번 항목을 참고하여 변경해주세요.


8. 장서 토큰 연결

장서 토큰을 사용하는 편이신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초심자 시절에는 시트를 왔다갔다 하는 게 힘들어서 롤방에 전부 깔아두는 타입이었습니다. 그래서 꽤 과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필요한 항목을 제외하고 알아서 쳐내 주세요. 예시 세팅에는 롤마님의 도트 장서 토큰이 사용되었습니다.

장서 토큰을 사용하신다면 맵 세팅에서 하셨던 것처럼 장서들을 덱 또는 롤테이블에 모두 넣어주세요.

이후 토큰들을 코스트별로 분류하여 깔아줍니다. 배치 순서는 시트 기입 순서를 권장합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인내심의 영역입니다만… 마력 토큰 연결 0~2의 항목을 반복하여 캐릭터 시트에 토큰을 달아 줄 겁니다.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성치 설정을 Magic_0X_Charge로 바꿔주십시오. X는 캐릭터 시트에서의 장서 순서입니다.

다음과 같이 2번째 장서일 경우, Magic_02_Charge를 등록해주세요. Max에는 수동으로 캐릭터의 근원력을 넣으시면 됩니다. 만약 Magic_0X_Charge가 뜨지 않을 경우, 캐릭터 시트의 충전 란에 아무것도 적혀 있지 않아 변수가 뜨지 않은 경우입니다. 충전 칸에 무엇이라도 적어주십시오.

툴팁에 장서 효과나 장서 이름을 적으면 전 더 편했었던 것 같습니다.

대략 이렇게 모든 장서에 설정해주시면, 시트를 키지 않아도 토큰 클릭 후 +1 또는 -1 등으로 장서에 충전된 마소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요즘에도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지 모르겠으나, 크롬 사용자의 경우 장서 이름이 토큰에 연결된 시트 이름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이것은 Roll20의 오류이므로 새로고침 한번 후 이름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만, 시트에서 직접 수정하는 편이시라면 아예 토큰을 연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뜬금없지만 이 시트는 11번째 장서부터는 이 방식으로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Charge 변수가 뜨지 않음) 충전이 필요 없는 장비 장서를 뒤쪽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9. 플롯 덱 만들기

다른 분들이 잘 설명해주셨습니다만 편의성을 위해 작성합니다. 예시 세팅에는 롤마님의 플롯 주사위가 사용되었습니다. (위 장서 토큰과 색이 매치됩니다.)

세 덱을 추가하신 후, 해당 플롯 주사위 7개 이미지를 넣어주십시오. (1~6, 그리고 집중방어. 랜덤플롯은 넣으셔도 무료 유저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뒷면은 뒷면 이미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위에서 서술한 것과 다르게 이 설정으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취급은 그림으로 설정하셔도 되나, 이 경우 눈금에 딱 들어가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칸에 딱 들어가는 사이즈를 선호하여 이렇게 작성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카드 크기 또한 맵시트의 다이스 놓는 란에 맞추어 기입해주세요.)

이후 덱 액션에서 표시를 클릭한 후 플롯할 때 맵시트에 올리면, 전체 드래그 후 뒤집기로 나의 플롯과 플레이어의 플롯을 한번에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요. 6 대미지!


10. 장면표 만들기

2d6 장면표 롤테이블은 아래 작성자분이 저보다 더 설명을 잘 해두셨습니다. 롤테이블은 아래와 같이 세팅하는 거 어떠실까요.

그런데 말입니다, 롤테이블의 비중은 소수점은 불가능하지만 사실 1000 단위도 된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비중의 합은 100까지만 가능하다고 Roll20내에 적혀 있으나 사실 더 커도 잘 돌아갑니다.

2:278 / 3:556 / 4:833 / 5:1111 / 6:1389 / 7:1667 / 8:1389 / 9:1111 / 10:833 / 11:566 / 12:278

그렇습니다. 실제 확률에 100을 곱한 값을 넣어도 잘 돌아갑니다. 굴려보면 확률도 비슷한데요, 정작 저도 이렇게 세팅해 본 적은 없네요. (방 복사해가며 쓰는지라…)

장면표는 기본적으로 위 링크처럼 굴려도 좋지만, 아래 양파님의 매크로를 사용하여 출력하면 사이클과 장면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를 복사하여 장면표 글자 칸에 롤테이블 이름을 작성해 넣으시면 됩니다. 사이클 수와 장면 순서는 시나리오에 맞춰 수정해봅시다. 단순하게 숫자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이걸 매번 굴리는 건 곤란하죠. 매크로를 이용해봅시다.

매크로에서 추가 버튼을 누른 후, 아까 복사한 코드를 액션 란에 넣어줍니다. 매크로 이름은 장면표 정도가 좋겠네요.

플레이어에게 표시에서 모든 플레이어를 선택하면 모든 사람이 장면표 매크로를 볼 수 있습니다. 매크로 이름 옆의 표시와 그 하단의 매크로 버튼 표시를 체크하면, 화면 최하단에 버튼 형식으로 매크로가 떠요. 이런 방식으로 복잡한 식들을 매크로에 입력하면 편하고 좋습니다.

매크로 바를 삭제할 때는 마우스 오버했을 때 나오는 회색 칸을 잡고 땡기시면 됩니다.


11. 편의 매크로

편의 요소로 사용할 수 있는 배포 코드를 작성해뒀습니다. 사용법은 10번처럼 매크로 칸에 복사하시고 클릭하면 됩니다.

플레이어의 편의를 위한 플롯완료, 차례완료 이미지입니다. [대충이런양식](이미지 링크) 로 롤방에 붙여넣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로 올려서 플레이어에게 배부해도 좋고요.

PEACHBOX님의 매크로 이미지입니다. 검은 칸에 적힌 식을 그대로 매크로 내용에 붙여서 선택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12. 원형 토큰

기호에 따라 다르나, 저는 헷갈려서 원형 토큰마다 이펙트를 붙여놓는 편입니다. 예시로는 숩불님의 원형 토큰을 이용하였습니다.

위에서 그랬던 것처럼 롤테이블이나 덱에 넣어놔도 되지만, 저는 맵 한 구석에 전시해두는 편입니다. 툴팁에 이펙트를 작성한 후 맵에 쌓아두고 복사하여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13. 핸드아웃 설정

꾸밈 있는 구글 문서 핸드아웃이나 PSD 핸드아웃 등은 핸드아웃 템플릿 등으로 서치하여 사용법을 알아보시기를 권장합니다.

기본적으로 핸드아웃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이미지 핸드아웃을 입력하지 않는다면 하단으로 내려 내용 및 설명 창을 켜 주세요. 이 부분에 핸드아웃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작성한 핸드아웃은 기본적으로 GM만 볼 수 있습니다. Show to Players를 클릭하면 핸드아웃이 전체 공개됩니다.

특정 인원에게만 보여주고 싶다면 핸드아웃을 PL 인장에 드래그해주세요.

우측에 해당 플레이어 이름 우측에 있는 것과 같은 색이 보이면 제대로 처리된 것입니다.


이상으로 세팅을 마칩니다. 아래로는 간단하게 알아두면 좋을 내용입니다.

  • PRO는 API를 사용해서 위 세팅을 매우 간단하게 합니다. 자세한 것은 양천일염님의 API 스크립트를 참조해주세요.

  • 세팅 중, 또는 플레이 중 맵이 하얗게 보이거나 모든 토큰이 사라지거나… 이런 롤20 오류는 대부분 새로고침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이 힘들 경우 맵을 하나 더 생성하신 후, 그 방에 들어갔다 나오면 높은 확률로 해결됩니다.

  • 토큰 마커는 개인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작성하지 않았지만 필요하시다면 추가하겠습니다.

  • GM 말고 플레이어도 매크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매크로는 GM에게도 다른 PL에게도 보이지 않음에 주의해주세요.

위 모든 자료를 배포해주신 분들께 감사 인사를 올립니다. 이제 막 세팅을 시작하는 마법사 여러분도 즐거운 마기로기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 0



추천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