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비지타임

[형현] 내 안의 빨강

내 안의 파랑의 후속편입니다.

17세의 조형석x이현성, 형현 연성입니다. 
작중 원중고와 지상고의 설정은 자작...에 가까울 겁니다, 아마도요


부산 소재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지상고등학교는 나름대로 알아주는 학교였다. 공부로는 강남의 모 학교와 비빌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라고 했고, 야구부는 우승기로 커튼을 할 지경이라 하였다. 세간의 평판이 그랬다. 평범한 부산 남자였던 이현성은 그런 것을 기대하면서 입학한 건 아니었다. 

이현성이 지상고등학교를 선택한 것에 이유는 없었다. 초등학교 시절에 시작한 농구. 좋아해서 시작한 농구를 그럭저럭 다른 선수들과 비교해서 나쁘지 않을 정도로 했었다. 농구를 사랑하는 마음이 실력에 대한 썩 괜찮은 평가로 이어지면 좋았겠지만 이현성은 그 정도까지 눈에 띄는 선수는 아니었다. 평범한 피지컬 때문에 실력이 낮게 평가되는 이유도 없진 않았지만, 이현성은 자신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 불만을 품고 궁시렁대는 건 시시한 일이라 생각했다. 

그렇게 중학교 시절 내내 농구를 사랑했고 열심히 해왔던 이현성이 고등학교 입학 시기가 다가올 무렵에 농구에게 사랑받았느냐하면, 불행히도 그렇지 못했다. 이현성의 실적으로는 농구부가 유명한 다른 고등학교에 갈 선택지가 그다지 없던 것도 있었지만, 달리 생각하자면 고등학생이 되면서까지 농구라는 길을 선택하는 학생도 많지는 않았다. 

뭐, 좋은 게 좋은 거다. 
부산 사내자슥이 부산 학교에 입학하는 게 당연한 거 아이가? 

여기부터 유료 분량입니다.

100P

※ 크리에이터의 동의 없는 콘텐츠 불법 복제, 배포, 판매 등의 위법 행위는 법적 조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현성이 지상고에 입학한 건 이현성에게 이어서는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 부산에서 태어났고 부산에서 자랐으며 부산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거쳐서 다행히도 부산에 있는 지상 고등학교는 농구부를 가지고 있는 학교였다. 어쨌거나 고등학교 시절에도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농구에 인생을 바치기로 결심한 농구 선수인 이현성에게는 그거면 지상고등학교에 입학할 이유가 충분한 것이다. 

그 지상 고등학교가 원중 고등학교를 만났던 전국 대회. 지상 고등학교는 원중 고등학교에게 졌다. 당연한 결과였다. 그러나 이현성은 그 게임에서 마음 속을 두둑하게 채울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었다. 스쳐지나갔지만, 2분밖에는 뛰지 않았지만 분명히 한 코트 위에서 존재했었던 자신 안의 특별한 존재. 

조형석이었다. 

경기에서 이긴 원중고를 향해 쏟아지는 스포트라이트를 등진 채 푸른 유니폼을 입은 이현성은 생각했다. 다시 한번, 또. 조만간에 다시. 이현성은 중 2 시절 이후 제 마음에 서서히 밀려드는 붉은 색을 떠올렸다. 

그 색의 주인공이 바로 조형석이다. 


농구판에는 모종의 근거 없는 믿음이 있었다. 그 건 몇 년에 한 번정도의 꼴로 유망주들 중 크게 될 선수가 등장한다는 이현성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였다. 가끔은 꼴에, 그렇게 실력이 뛰어나지 않은 선수가 '저건 불문율이니 고등학교에서 열심히만 하면 나도...!' 같은 시덥지 않은 생각을 하는 놈들이 있기는 했다. 

희망은 자유였다.
그러나 현실을 인지할 줄 아는, 혹은 그렇다고 생각하는 이현성은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 희망은 차라리 고문에 가깝다고 여겼다. 저게 뭔 소리고? 이현성은 미신 같은 걸 믿는 성격은 못되었기 때문에 그 이야기를 믿지 않았다. 아니, 믿지 못했다. 

기어이 그가 제 인생에서 큰 터닝포인트가 될 조형석은 만나기 전까지는. 

농구판은 좁고도 좁아서, 또래 중에서 크게 센세이션을 일으킬만한 선수가 있는 경우에 이름을 모르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이현성이, 처음으로 조형석을 알게 된 시기는 중 2 후반부. 동갑내기들 중 굉장한 선수가 있다는 말을 코치에게서 전해들었던 시기. 이현성이 본 조형석은 강했다. 같은 나이인 중학생이었던 만큼 선수로서 몸이 완전히 완성된 것은 아니었지만, 가드다운 민첩성에 장거리 슈팅 능력까지 갖추었다. 그러나 중학교는 고등학교만큼 전국 대회가 흔한 편이 아니었고 중학교 시절 이현성이 다니던 중학교는 매우 약체였다. 그 사이 조형석은 이현성의 관심 그 이상으로 장래의 슈퍼스타가 될 재목으로 성장하고 있었고 농구 전문 잡지에서 단독 인터뷰를 할 정도의 재목이 되어 있었다. 

부러웠냐고? 이현성이 조형석의 인터뷰가 실린 잡지를 보았다. 당연하지만 이현성은 스포츠 전문 잡지라면 뭐든지 보고 있었으니 조형석의 인터뷰도 당연히 읽게 된 것이지 조형석이를 위해서 잡지를 구매한 건 아니다. 그 곳에서 조형석이 농구공을 들고 환하게 웃는 사진이 있었다. 얼마전 종료했었던 무슨 경기에서 우승을 했고, 대회 MVP를 땄다는 내용이었다. 이현성을 포함한 농구부 부원들이 모여 그 경기를 보았는데 무슨 농구의 신이 경기를 휩쓸고 간 게 아닌가 싶을 만큼 기가 막힌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비슷한 나이대의 그렇고 그런 선수들과는, 급과 차이가 달랐다. 그 때는 경기에 신경을 쓰느라 이현성이 조형석의 얼굴의 생김새 따위는 신경쓰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렇게 잡지에 공개된 사진을 보니 얼굴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눈썹은 굵었지만 속눈썹이 제법 길어서 묘한 분위기를 내는 동갑내기. 윙스팬이, 그러니까 팔 길이가 신장에 비해 긴 것 같고, 약간의 곱슬기가 있는 머리카락. 그 사진을 볼 때 이현성의 가슴이 두근거렸다. 

이현성은 몇 번이나 반복해서 인터뷰를 읽었다. 이현성의 눈 끝이 쫓는 것은 조형석의 사진과 모습과 그가 말했었던 문장과 그 안의 단어들이었다. 어떤 감정이 일었다. 잡지의 뒷 표지를 덮고나서야, 이현성은 자신의 안에 차오른 그 감정이 단순히 잘 하는 선수에 대한 부러움과 시기 따위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현성은, 부럽지 않았다. 부러움 따위를 느끼기에 이현성은 조형석이 하는 농구를 사랑하고 있었다. 무언가만 생략되면 모든 것이 다 설명이 가능했다. 부러움의 감정 따위가 일지 않은 이현성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 

이현성은 조형석이 하는 농구를 사랑하고 있었다....
이현성은 조형석이 XX 농구를 사랑하고 있었다. 
이현성은 조형석이 XX XX를 사랑하고 있었다. 
이현성은, 조형석이를 사랑하고 있었다. 

사내자슥을 남사스럽게 사랑한다고? 말 한번 섞어보지 못한 놈을? 아니, 사랑이라고 이름을 붙일 거면 좀 더 제대로 된 무언가의 접점이 있어야하는게 아닌가. 하지만 농구라는 가장 큰 접점이 있는 그게 그렇게 쉽게 결정이 나는 건가. 중학교 2학년의 이현성은 고개를 저었다. 나는 그를 사랑하는 게 아니라 잡지를 보고서 사랑을 느낀거라고. 무슨 연예인이가? 연예인도 이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그 단어를 떠올린 순간 의식한 것은 이현성 자신이었다. 사랑에 빠진다는 것을 느끼자 큰 죄책감이 들었다. 지금...지금이 이럴 때가? 운동하느라 바빠서 시간도 없는데 무슨. 중학생이기는 해도 고등학교에 가서도 농구를 계속하려면 운동을 놓으면 안되는데, 그것도 남자를 상대로 사랑...이라고? 

이현성은 조형석이 나온 잡지를 얌전히 침대 아래로 숨겼고, 그 잡지는 이현성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품어본 사랑이라는 감정과 더불어 여러 해가 지나도록 거기에 있었다. 

이현성이 그 삶에서 들었던 첫 번째의 묘한 감정으로 그의 존재를 인식한 것은 중2 끝물이었으나, 대진운이 따르지 않아 중학생 시절 같은 코트에서 조형석을 만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그러나 이현성은 그의 플레이를 보고 싶었다. 코트에서 만나고, 이현성 본인이 생각한 무언가의 접점을 확인 한 다음 정말로 그를 사랑하는 건지 농구를 너무 잘해서 사랑하게 된 건지 확인하고 싶었다. 그럴 수 없었으니까 플레이 영상을 분석한다는 이유에서 조형석의 영상을 보고 연구했다. 당시에는 중고교 농구 시절이라 어떤 포지션이 명확하게 정해진 건 아니었지만, 영상을 보았던 그 시점 조형석도 이현성도 가드니까 어떤식으로 농구를 하고 있는가 조금 집중적으로 볼 필요가 있었다. 그건 이현성으로서는 괜찮은 핑계거리였다. 잡지 속 인터뷰와는 다르기도, 비슷하기도 했던 조형석의 모습. 만나고 싶었다. 핑계가 농구가 되었건 조형석의 플레이건 그런 건 상관없었다. 

사랑에 이유가 있느냐, 없느냐를 굳이 따지자면 이현성은 있었으면 했다. 있어야했다. 그러면 속시원히 자신의 애매하고도 미묘한 감정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처음으로 만난 경기에서 큰 점수차이로 졌다. 이현성의 출전시간은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그러나 40점의 점수차이건, 2분 남짓했던 출전 시간이건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벤치에서 코트로 나갈 때의 두근거림은, 꼭 조형석을 직접 만나러 갈 때의 두근거림과도 같은 것이다. 사실 경기에 출전하기 전부터 이현성의 관심사는 오로지 조형석이었다. 코트 위건 벤치건 상관이 없었다. 그렇게나 만나고 싶었던 조형석이 코트위에 있었고, 자신 역시 그 공간에 함께였다는 게 명백한 사실이다. 누가 부정하겠는가.  

감독이 선수 교체를 명했을때, 이현성은 죽을 만큼 뛰고 출전 시간에 비해서 나쁘지 않은 실적을 올렸다.물론 제 실적이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그냥, 출전시간을 허락받은 이현성이 매 경기 그랬던 것처럼 한 줌의 후회를 남기고 싶지 않았을 뿐이다. 조형석의 앞이라고 달라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현성의 마음이 좀 더 간지러워지는 건, 아마도. 짧은 시간이었지만 경기 중에는 떠올리지 않으려고 부던히 노력했다. 마음의 정리는 코트 바깥에서 해도 괜찮다고. 

출전 시간의 한계로 서로가 마주친 시간이 길건 짧건, 그렇게나 바랐었던 코트위에서의 만남이 드디어 실현이 된 셈이다. 이현성은 처음으로 자신과 매치업을 하던 때의 조형석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했다. 농구공을 튕기며 어떤 식으로 농구를 할 것인가 하고 서로의 수를 읽었던 순간을 떠올린다. 그건 잡지속의 인터뷰를 읽는 것보다 훨씬 더 짜릿하고, 즐거운 일이었다. 물론 이현성에게 있어 농구는 즐거운 것이었다. 

하지만 상대가 조형석이 아닌 다른 사람이었다면 그 만큼은 즐겁지 않지 않을까. 

그렇게 이현성이 코트위로 출전했던 2분이 끝나고, 그다지 치열하지는 않았던 경기의 승패가 갈린 순간에 이현성은 침대 아래에 쳐박아둔 잡지를 읽었을 때 느꼈던 감정을 또 다시 떠올렸다. 속이 울렁거리면서, 가슴의 한 쪽 끝이 간지러워지는 굉장히 남사스러운 감정들. 이제 그 때보다 더 성숙해 졌으니, 속시원하게 인정할 수 있었다. 함께 코트를 가르며 달리다보니 그다지 부정하고픈 생각도 들지 않았다. 

이현성은 조형석이 하는 농구를 사랑한다. 
이현성은 농구를 사랑한다.
이현성은 조형석을 사랑한다. 

모든 것이 전부 참인 명제였다. 그렇게 정의했다. 이제는, 조금이라도 접점이 생겼으니 사랑이라는 단어를 확실하게 쓸 수는 있는 것이다. 한 번의 농구 경기 없이 농구 잡지만 보고 사랑에 빠진 건 가오가 죽지 않던가. 그렇다. 

..그래도 그, 뭐냐. 아직은...비밀...로. 그냥, 그러면 농구를 사랑하는 걸로 해두자... 

카테고리
#2차창작
페어
#BL

댓글 0



추천 포스트